본문으로 바로가기

로딩이미지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.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.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, 유지·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.

◎ 수행직무

전기기계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, 크기,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, 도면 및 시방서 작 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작동,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.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,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, 발전,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,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 업무 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또한 전기부 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.
  • 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 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,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.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.

◎ 응시자격
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
1.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3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6.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8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9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10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
- 대학의 전기공학, 전기제어공학,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

◎ 시험과목

필기실기
1. 전기자기학
2. 전력공학
3. 전기기기
4.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
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전기설비설계 및 관리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 (과목당 30분)
  • 실기 : 필답형 (2시간 30분)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최종합격자 발표
2025년 정기 기사 1회25.01.13~25.01.16
빈자리추가접수기간
25.02.01~25.02.02
25.02.07~25.03.0425.03.1225.03.24~25.03.2725.04.19~25.05.0925.06.13
2025년 정기 기사 2회25.04.14~25.04.1725.05.10~25.05.3025.06.1125.06.23~25.06.2625.07.19~25.08.0625.09.12
2025년 정기 기사 3회25.07.21~25.07.2425.08.09~25.09.0125.09.1025.09.22~25.09.2525.11.01~25.11.2125.12.24

◎ 시험수수료

  • 필기 : 19,400원
  • 실기 : 22,600원

◎ 응시현황

연도필기실기
응시합격합격률(%)응시합격합격률(%)
202457,41715,00526.1%27,06310,11537.4%
202351,63011,47722.20%23,6438,77437.10%
202252,18711,61122.20%32,64012,90139.50%
202160,50013,36522.10%33,8169,91629.30%
202056,37615,97028.30%42,4167,15116.90%
201949,81514,51229.10%31,47612,76040.50%
201844,92012,32927.40%30,8494,41214.30%
201743,10410,83125.10%25,3099,45737.40%
201638,6329,08523.50%23,0894,67620.30%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전기를 합리적으로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.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.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, 유지·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.

◎ 수행직무

전기기계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, 크기,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, 도면 및 시방서 작 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작동,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.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,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, 발전,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,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업무 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또한 전기부 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.
  • 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 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,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.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.

◎ 응시자격
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
1.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3.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6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
8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
- 대학의 전기공학, 전기제어공학,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

◎ 시험과목

필기실기
1. 전기자기학
2. 전력공학
3. 전기기기
4. 회로이론
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전기설비설계
및 관리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  • 실기 : 필답형(2시간)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최종합격자 발표
2025년 정기 기사 1회25.01.13~25.01.16
빈자리추가접수기간
25.02.01~25.02.02
25.02.07~25.03.0425.03.1225.03.24~25.03.2725.04.19~25.05.0925.06.13
2025년 정기 기사 2회25.04.14~25.04.1725.05.10~25.05.3025.06.1125.06.23~25.06.2625.07.19~25.08.0625.09.12
2025년 정기 기사 3회25.07.21~25.07.2425.08.09~25.09.0125.09.1025.09.22~25.09.2525.11.01~25.11.2125.12.24

◎ 시험수수료

  • 필기 : 19,400원
  • 실기 : 20,800원

◎ 응시현황

연도필기실기
응시합격합격률(%)응시합격합격률(%)
202431,5846,18919.6%10,9613,10528.3%
202329,9555,57718.60%11,1935,66850.60%
202231,1216,69221.50%16,2233,91724.10%
202137,8926,99118.40%18,4165,02027.30%
202034,5348,70625.20%18,0824,95527.40%
201937,0916,62917.90%13,1794,48634.00%
201830,9206,58321.30%12,3314,82039.10%
201729,4285,77919.60%12,1594,33435.60%
201627,7245,79020.90%11,0312,93326.60%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, 제조 조작, 운전,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

◎ 수행직무

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, 정지기, 제어장치 또는 빌딩 ,공장, 주택,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, 케이블,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, 보수, 검사, 시험 및 관리하는 일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발전소, 변전소, 전기공작물시설업체, 건설업체,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,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,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다.
  • 전기공사산업기사, 전기공사기사, 전기산업기사,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단계이다.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·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,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개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.

◎ 시험과목

필기실기
1. 전기이론
2. 전기기기
3. 전기설비
전기설비작업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(60문항)
  • 실기 : 작업형(5시간 정도, 전기설비작업)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에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에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최종합격자 발표
2025년 정기 기사 1회25.01.06~25.01.09
빈자리추가접수기간
25.01.15~25.01.16
25.01.21~25.01.2525.02.0625.02.10~24.02.13
빈자리추가접수기간
25.03.09~25.03.10
25.03.15~25.04.0225.04.11
2025년 정기 기사 2회25.03.17~25.03.2125.04.05~25.04.1025.04.1625.04.21~25.04.2425.05.31~25.06.1525.06.27
2025년 정기 기사 3회25.06.09~25.06.1225.06.28~25.07.0325.07.1625.07.28~25.07.3125.08.30~25.09.1725.09.26
2025년 정기 기사 4회25.08.25~25.08.2825.09.20~25.09.2525.10.1525.10.20~25.10.2325.11.22~25.12.1025.12.19

◎ 응시현황

연도필기실기
응시합격합격률(%)응시합격합격률(%)
202461,12722,13336.2%32,76223,76972.6%
202360,23921,01734.90%30,54522,65574.20%
202248,44016,21233.50%27,49820,05372.90%
202157,14819,58734.30%32,75523,47371.70%
202049,17618,31337.20%31,92121,43267.10%
201953,87316,80231.20%29,95719,83266.20%
201848,83215,17631.10%28,48818,13863.70%
201744,75713,18029.40%25,69417,72569%
201643,46912,03627.70%24,01316,64469.30%
201538,28010,26526.80%19,50715,26278.20%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전기는 생산, 수송,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안전하다. 이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 할 목적으로 자격제도 재정.

◎ 수행직무

공사비의 적산, 공사공정계획의 수립,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 적인 직무를 수행. 또한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현장관리를 하는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발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공사업체, 발전소, 변전소, 설계회사, 감리회사, 조명공사 업체, 변압기, 발전기,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가 쓰이는 모든 전기공사시공업체에 취업이 가능하고 일부는 전기공사업체를 자영하거나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.
  • 전기가 전 산업에서의 기본 에너지임을 감안할 때 전기시설물의 시공과 점검 및 유지 ·보수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전문가의 수요는 계속될 것이다. 특히 「전기공사업법」 에서도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진출범위가 넓고 취업이 유리하여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다. 「전기공사업법」에서는 전기공사업등록기준으로 전기관련 산업기사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자 1인을 포함한 전기공사기술자3인이상을 고용하도록 되어있다.

◎ 응시자격

대학의 전기공학, 전기시스템공학, 전기제어공학 등 전기관련학과

◎ 시험과목

필기실기
1.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
2. 전력공학
3. 전기기기
4.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
5. 전기설비기술기준
전기설비 견적 및 시공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  • 실기 : 필답형(2시간 30분)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최종합격자 발표
2025년 정기 기사 1회25.01.13~25.01.16
빈자리추가접수기간
25.02.01~25.02.02
25.02.07~25.03.0425.03.1225.03.24~25.03.2725.04.19~25.05.0925.06.13
2025년 정기 기사 2회25.04.14~25.04.1725.05.10~25.05.3025.06.1125.06.23~25.06.2625.07.19~25.08.0625.09.12
2025년 정기 기사 3회25.07.21~25.07.2425.08.09~25.09.0125.09.1025.09.22~25.09.2525.11.01~25.11.2125.12.24

◎ 응시현황

연도필기실기
응시합격합격률(%)응시합격합격률(%)
202411,5785,93851.3%6,9433,46149.8%
202314,9726,73645%85,475,31562.20%
202213,5836,47547.70%91,616,03765.90%
202117,0558,90652.20%10,6584,50842.30%
202088,694,90455.30%6,6663,90458.60%
201912,2635,22742.60%6,3381,85229.20%
20189,4303,46236.70%4,6552,16246.40%
201710,7434,50341.90%5,2871,97437.30%
20169,4073,38336%4,3571,92044.10%
20158,9692,78131%4,6801,50532.20%
상단으로
홈으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