◎ 시행처
한국산업인력공단
◎ 개요
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.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.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, 유지·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.
◎ 수행직무
전기기계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, 크기,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, 도면 및 시방서 작 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작동,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.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,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, 발전,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,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 업무 수행.
◎ 진로 및 전망
-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또한 전기부 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.
- 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 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,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.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.
◎ 응시자격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1.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3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6.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8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9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10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- 대학의 전기공학, 전기제어공학,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
◎ 시험과목
필기 | 실기 |
1. 전기자기학 2. 전력공학 3. 전기기기 4.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|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|
◎ 시험방법
-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 (과목당 30분)
- 실기 : 필답형 (2시간 30분)
◎ 합격기준
-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-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◎ 시험날짜
2023년도 회차 | 필기원서접수 (인터넷)(휴일제외) | 필기시험 | 필기합격(예정자) 발표 | 실기시험 원서접수 (휴일제외) | 실기시험 | 최종 합격자 발표일 |
2023년 정기 기사 1회 | (2월 응시자격) 01.10 ~ 01.13 (3월 응시자격) 01.16 ~ 01.19 | (2월 응시자격) 02.13 ~ 02. 28 (3월 응시자격) 03.01 ~ 03.15 | 3.21 | 03.28 ~ 03.31 | 04.22 ~ 05.07 | 6.09 |
2023년 정기 기사 2회 | 04.17 ~ 04.20 | 05.13 ~ 06.04 | 6.14 | 06.27 ~ 06.30 | 07.22 ~ 08.06 | 1차 : 08.17 2차 : 09.01 |
2023년 정기 기사 3회 | 06.19 ~ 06.22 | 07.08 ~ 07.23 | 8.02 | 09.04 ~ 09.07 | 10.07 ~ 10.20 | 1차 : 11.01 2차 : 11.15 |
◎ 시험수수료
- 필기 : 19,400원
- 실기 : 22,600원
◎ 응시현황
연도 | 필기 | 실기 |
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 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
2021 | 60,500 | 13,365 | 22.10% | 33,816 | 9,916 | 29.30% |
2020 | 56,376 | 15,970 | 28.30% | 42,416 | 7,151 | 16.90% |
2019 | 49,815 | 14,512 | 29.10% | 31,476 | 12,760 | 40.50% |
2018 | 44,920 | 12,329 | 27.40% | 30,849 | 4,412 | 14.30% |
2017 | 43,104 | 10,831 | 25.10% | 25,309 | 9,457 | 37.40% |
2016 | 38,632 | 9,085 | 23.50% | 23,089 | 4,676 | 20.30% |
◎ 시행처
한국산업인력공단
◎ 개요
전기를 합리적으로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 의 효율성 측면에도 주요하다.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 도 많다. 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, 유지·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 제정.
◎ 수행직무
전기기계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, 크기,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, 도면 및 시방서 작 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작동,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. 또 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, 감독하거나 제조공정의 관리, 발전,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,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업무 수행.
◎ 진로 및 전망
-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또한 전기부 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.
- 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 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 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, 또 내선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.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 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 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.
◎ 응시자격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1.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3.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6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
8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- 대학의 전기공학, 전기제어공학, 전기전자공학 등 관련학과
◎ 시험과목
필기 | 실기 |
1. 전기자기학 2. 전력공학 3. 전기기기 4. 회로이론 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|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|
◎ 시험방법
-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- 실기 : 필답형(2시간)
◎ 합격기준
-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-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◎ 시험날짜
2023년도 회차 | 필기원서접수 (인터넷)(휴일제외) | 필기시험 | 필기합격(예정자) 발표 | 실기시험 원서접수 (휴일제외) | 실기시험 | 최종 합격자 발표일 |
2023년 정기 기사 1회 | (2월 응시자격) 01.10 ~ 01.13 (3월 응시자격) 01.16 ~ 01.19 | (2월 응시자격) 02.13 ~ 02. 28 (3월 응시자격) 03.01 ~ 03.15 | 3.21 | 03.28 ~ 03.31 | 04.22 ~ 05.07 | 6.09 |
2023년 정기 기사 2회 | 04.17 ~ 04.20 | 05.13 ~ 06.04 | 6.14 | 06.27 ~ 06.30 | 07.22 ~ 08.06 | 1차 : 08.17 2차 : 09.01 |
2023년 정기 기사 3회 | 06.19 ~ 06.22 | 07.08 ~ 07.23 | 8.02 | 09.04 ~ 09.07 | 10.07 ~ 10.20 | 1차 : 11.01 2차 : 11.15 |
◎ 시험수수료
- 필기 : 19,400원
- 실기 : 20,800원
◎ 응시현황
연도 | 필기 | 실기 |
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 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
2021 | 17,055 | 8,906 | 52.20% | 10,658 | 4,508 | 42.30% |
2020 | 56,376 | 15,970 | 28.30% | 42,416 | 7,151 | 16.90% |
2019 | 49,815 | 14,512 | 29.10% | 31,476 | 12,760 | 40.50% |
2018 | 44,920 | 12,329 | 27.40% | 30,849 | 4,412 | 14.30% |
2017 | 43,104 | 10,831 | 25.10% | 25,309 | 9,457 | 37.40% |
2016 | 38,632 | 9,085 | 23.50% | 23,089 | 4,676 | 20.30%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