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
로딩이미지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고압가스가 지닌 화학적,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고압가스의 제조과정에서부터 소비과정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규제대책, 각종 가스용기, 기계, 기구 등에 대한 제품검사, 가스취급에 따른 제반시설의 검사 등 고압가스에 관한 안전관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.

◎ 수행직무

고압가스 및 용기제조의 공정관리, 가스의 사용방법 및 취급요령 등을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와 저장, 판매, 공급 등의 과정에서 안전관리를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 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고압가스 제조업체·저장업체·판매업체에 기타 도시가스 사업소, 용기제조업소, 냉동 기계제조업체 등 전국의 고압가스 관련업체로 진출할 수 있다.
  • 최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의 발달로 연료용 및 산업용 가스의 수급규모가 대형화되고 있으며, 가스시설의 복잡·다양화됨에 따라 가스사고건수가 급증하고 사고 규모도 대형화되는 추세이다. 또한 가스설비의 경우 유해·위험물질을 다량으로 취급 할 뿐 만 아니라 복잡하고 정밀한 장치나 설비가 자동 제어되는 연속공정으로 거대 시스템화 되어 있어 이들 설비의 잠재위험요소를 확인·평가하고 그 위험을 제거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. 또한 정부에서는 도시가스 의 공급비율을 2002년까지 61.9%로 올릴 예정으로 평택, 인천에 이어 통영 인수기지 를 건설하고 있다. 이에 따라 가스의 사용량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가스기사의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.

◎ 응시자격
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
1.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3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6.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8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9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10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
◎ 시험과목

필기 실기
1. 가스유체역학
2. 연소공학
3. 가스설비
4. 가스안전관리
5. 가스계측
가스 실무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  • 실기 : 복합형[필답형(1시간 30분) + 작업형(1시간 30분 정도)]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 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 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
2023년 정기 기사 1회 (2월 응시자격) 01.10 ~ 01.13
(3월 응시자격) 01.16 ~ 01.19
(2월 응시자격) 02.13 ~ 02. 28
(3월 응시자격) 03.01 ~ 03.15
3.21 03.28 ~ 03.31 04.22 ~ 05.07 6.09
2023년 정기 기사 2회 04.17 ~ 04.20 05.13 ~ 06.04 6.14 06.27 ~ 06.30 07.22 ~ 08.06 1차 : 08.17
2차 : 09.01
2023년 정기 기사 3회 06.19 ~ 06.22 07.08 ~ 07.23 8.02 09.04 ~ 09.07 10.07 ~ 10.20 1차 : 11.01
2차 : 11.15

◎ 시험수수료

  • 필기 : 19,400원
  • 실기 : 24,100원

◎ 응시현황

연도 필기 실기
응시 합격 합격률(%) 응시 합격 합격률(%)
2021 4,068 1,455 35.80% 2,096 743 35.40%
2020 3,534 1,352 38.30% 2,370 1,004 42.40%
2019 3,483 1,307 37.50% 2,375 452 19%
2018 2,853 1,048 36.70% 1,527 394 25.80%
2017 2,740 1,092 39.90% 1,732 942 54.40%
2016 2,558 741 29% 1,514 505 33.40%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고압가스가 지닌 화학적,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고압가스의 제조과정에서부터 소비과정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규제대책, 각종 가스용기, 기계, 기구 등에 대한 제품검사, 가스취급에 따른 제반시설의 검사 등 고압가스에 관한 안전관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.

◎ 수행직무

고압가스 및 용기제조의 공정관리, 가스의 사용방법 및 취급요령 등을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와 저장, 판매, 공급 등의 과정에서 안전관리를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 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고압가스 제조업체·저장업체·판매업체에 기타 도시가스 사업소, 용기제조업소, 냉동 기계제조업체 등 전국의 고압가스 관련업체로 진출할 수 있다.
  • 최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의 발달로 연료용 및 산업용 가스의 수급규모가 대형화되고 있으며, 가스시설의 복잡·다양화됨에 따라 가스사고건수가 급증하고 사고 규모도 대형화되는 추세이다. 또한 가스설비의 경우 유해·위험물질을 다량으로 취급 할 뿐 만 아니라 복잡하고 정밀한 장치나 설비가 자동 제어되는 연속공정으로 거대 시스템화 되어 있어 이들 설비의 잠재위험요소를 확인·평가하고 그 위험을 제거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. 또한 정부에서는 도시가스 의 공급비율을 2002년까지 61.9%로 올릴 예정으로 평택, 인천에 이어 통영 인수기지 를 건설하고 있다. 이에 따라 가스의 사용량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가스기사의 인력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.

◎ 응시자격

-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

1.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2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
3.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4.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
5.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
6.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
7.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
8.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

자세한 사항은 큐넷 문의 : 1644-8000

◎ 시험과목

필기 실기
1. 연소공학
2. 가스설비
3. 가스안전관리
4. 가스계측
가스 실무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  • 실기 : 복합형[필답형(1시간 30분) + 작업형(1시간 정도)]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
  •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 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 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
2023년 정기 기사 1회 (2월 응시자격) 01.10 ~ 01.13
(3월 응시자격) 01.16 ~ 01.19
(2월 응시자격) 02.13 ~ 02. 28
(3월 응시자격) 03.01 ~ 03.15
3.21 03.28 ~ 03.31 04.22 ~ 05.07 6.09
2023년 정기 기사 2회 04.17 ~ 04.20 05.13 ~ 06.04 6.14 06.27 ~ 06.30 07.22 ~ 08.06 1차 : 08.17
2차 : 09.01
2023년 정기 기사 3회 06.19 ~ 06.22 07.08 ~ 07.23 8.02 09.04 ~ 09.07 10.07 ~ 10.20 1차 : 11.01
2차 : 11.15

◎ 시험수수료

  • 필기 : 19,400원
  • 실기 : 24,100원

◎ 응시현황

연도 필기 실기
응시 합격 합격률(%) 응시 합격 합격률(%)
2021 7,280 1,875 25.80% 3,253 981 30.20%
2020 6,334 2,758 43.50% 4,740 1,302 27.50%
2019 7,127 2,755 38.70% 4,303 1,271 29.50%
2018 5,443 1,948 35.80% 2,680 1,352 50.40%
2017 5,141 1,517 29.50% 2,369 1,206 50.90%
2016 4,959 1,362 27.50% 1,895 824 43.50%

◎ 시행처

한국산업인력공단

◎ 개요

경제성장과 더불어 산업체로부터 가정에 이르기까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스류 제품 은 인화성과 폭발성이 있는 에너지 자원이다. 이에 따라 고압가스와 관련된 생산, 공정, 시설, 기수의 안전관례에 대한 제도적 개편과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여 자격제도 시행.

◎ 수행직무

고압가스 제조, 저장 및 공급시설, 용기, 기구 등의 제조 및 수리시설을 시공, 조작, 검사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의 관리, 생산공정에서 가스생산기계 및 장비를 운전하고 충전하기 위해 예방조치 점검과 고압가스충전용기의 운반, 관리 및 용기 부속품 교체 등의 업무 수행.

◎ 진로 및 전망

  • 고압가스 제조업체·저장업체·판매업체에 기타 도시가스 사업소, 용기제조업소, 냉동 기계제조업체 등 전국의 고압가스 관련업체로 진출할 수 있다.
  • 최근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산업의 발달로 연료용 및 산업용 가스의 수급 규모가 대형화되고, 가스시설의 복잡·다양화됨에 따라 가스 사고건수가 급증하고 사고 규모 도 대형화되는 추세이다.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자료에 의하면 가스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1997년 467명에서 1998년에는 551명으로 증가하였고, 정부의 도시가스 확대방안으로 인천, 평택인수기지에 이어 통영기지 건설을 추진하는 등 가스사용량 증가가 예상되어 가스기능사의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.

◎ 응시자격

제한없음

◎ 시험과목

필기 실기
1. 가스안전관리
2. 가스장치 및 기기
3. 가스일반
가스 실무

◎ 시험방법

  • 필기 : 전 과목 혼합, 객관식 60문항 (60분)
  • 실기 : 작업형 [동영상(1시간)+배관작업(2시간정도)]

◎ 합격기준

  • 필기·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이상

◎ 시험날짜

구분 필기원서접수
(인터넷, 휴일제외)
필기시험 필기합격(예정자)
발표
실기원서접수
(휴일제외)
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
2023년 정기 기능사 1회 01.09 ~ 01.12 01.28 ~ 02. 01 2.08 02.20 ~ 02.23 03.25 ~ 04.07 1차 : 04.19
2차 : 04.26
2023년 정기 기능사 2회 03.13 ~ 03.16 04.08 ~ 04.12 4.19 05.08 ~ 05.11 06.10 ~ 06.23 1차 : 07.05
2차 : 07.12
2023년 정기 기능사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 등
필기시험 면제자 검정
(일반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불가)
05.15 ~ 05.18 06.24 ~ 06.30 7.12
2023년 정기 기능사 3회 05.22 ~ 05.25 06.24 ~ 06.29 7.06 07.17 ~ 07.20 08.12 ~ 08.25 1차 : 09.13
2차 : 09.20
2023년 정기 기능사 4회 08.28 ~ 08.31 09.19 ~ 09.24 10.11 10.16 ~ 10.19 11.18 ~ 12.01 1차 : 12.13
2차 : 12.20

◎ 시험수수료

  • 필기 : 11,900원
  • 실기 : 48,700원

◎ 응시현황

연도 필기 실기
응시 합격 합격률(%) 응시 합격 합격률(%)
2021 11,747 3,753 31.90% 5,611 2,479 44.20%
2020 8,891 3,003 33.80% 4,442 2,597 58.50%
2019 11,090 3,426 30.90% 5,086 2,828 55.60%
2018 9,393 2,751 29.30% 4,378 2,457 56.10%
2017 10,281 2,817 27.40% 4,255 2,407 56.60%
2016 10,090 2,190 21.70% 3,690 2,107 57.10%
상단으로